제사 지방쓰는 법 총정리(부모님, 조부모님 지방 양식 다운로드) - TrendSteady Blood
다양한 정보 / / 2025. 1. 27.

제사 지방쓰는 법 총정리(부모님, 조부모님 지방 양식 다운로드)

목차

    제사는 설날이나 추석 또는 돌아가신 분 기일을 기리며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오랜 전통입니다.

     

    최근 제사를 많이 지내지는 않지만 그래도 아직까지 전통을 이어가고 계신 분들이 많은데요.

     

    제사 지방은 제사상에 올리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고인의 신위를 적어놓은 종이를 말합니다. 

     

    1. 지방의 규격

     

    • 크기: 가로 6cm, 세로 22cm
    • 종이: 깨끗한 흰 종이 (한지나 창호지 사용 권장)

     

     

    종이를 따로 준비할 필요없이 쿠팡과 같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굉장히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판매 1위 상품을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사 지방쓰기 세트 구입

     

     

     

    2. 지방쓰는 순서

     

    지방을 쓰는 방법은 생각보다 매우 간단하며 아래 4가지 순서대로 작성하기만 하면 되는데요. 원래는 한자로 쓰는 것이 정석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쓰는 가정도 많이 늘고 있습니다.

     

    ① 고인과 제사 모시는 사람의 관계

     

    아버지의 경우 '현고(顯考)'로 시작합니다.

    어머니의 경우 '현비(顯妣)'로 시작합니다.

     

    ② 고인의 직위

     

    남자 조상의 경우 벼슬이 있으면 벼슬 이름을, 없으면 '학생(學生)' 또는 '처사(處士)'를 씁니다.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을 씁니다.

     

    ③ 고인의 이름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으로 작성합니다.

    여자 조상은 본관과 성씨를 적습니다.

     

    ④ 신위

     

    남자/여자 조상 모두 마지막은 한칸을 띄고 '신위(神位)'를 적습니다.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1) 아버지 제사 지방

     

    아래 두 가지 중 골라쓰시면 되며 일반적으로 ①학생을 사용합니다. 

     

    ① 현고학생부군 신위 (現考學生府君 神位)

    ② 현고처사부군 신위 (現考處士府君 神位)

     

    2) 어머니 제사 지방

     

    현비유인ㅇㅇㅇ씨 신위 (現妣孺人ㅇㅇㅇ氏 神位)

     

    예를 들어 어머니께서 김해김씨라면 '현빈유인김해김씨 신위'라고 작성하시면 됩니다.

     

    3) 할아버지 제사 지방

     

    ① 현조고학생부군 신위 (現祖考學生府君 神位)

    ② 현조고처사부군 신위 (現祖考處士府君 神位)

     

    4) 할머니 제사 지방

     

    현조비유인ㅇㅇㅇ씨 신위 (現祖妣孺人ㅇㅇㅇ氏 神位)

     

    예를 들어 할머니께서 전주이씨라면 '현조비유인전주이씨 신위'라고 작성하시면 됩니다.

     

    3. 지방 양식 다운로드

     

    위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작성하실 때 아래 지방양식을 아래에 두고 위에 겹쳐쓰시면 쉽게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 부모님 지방 양식 ]

    부모님 지방 양식


     

    [조부모님 지방 양식]

    조부모님 지방 양식

     

     

    조부모 제사지방양식.hwp
    0.01MB

     

     

    어머니, 할머니 본관 성의 한자가 궁금하시면 아래 네이버 한자 사전에서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한자사전

     

     

     

    4. 제사 지방 태우는 방법

     

    제사 지방을 태우는 것은 제사를 마친 후 고인의 영혼을 원래 계시던 곳으로 보내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주로 북쪽으로 태우지만 정해진 방향은 없으며 지방을 태우는 방법은 아래 순서와 같습니다

     

    1. 제사 종료 후: 제사를 마친 후, 지방을 태우기 전에 제사상에서 모든 음식을 정리합니다.
    2. 깨끗한 장소 준비: 지방을 태울 깨끗한 장소를 준비합니다. 보통은 제사상 근처나 베란다 등 야외에서 태웁니다.
    3. 불을 붙이기: 지방을 태울 때는 안전을 위해 불을 붙일 도구(라이터나 성냥)를 준비합니다. 지방을 태울 때는 불이 잘 붙도록 종이를 살짝 구겨줍니다.
    4. 정중히 태우기: 지방을 태울 때는 고인의 영혼을 기리는 마음으로 정중히 태웁니다. 불이 잘 붙도록 천천히 태우며, 불이 꺼지지 않 주의합니다.
    5. 재 처리: 지방이 완전히 타고 남은 재는 깨끗한 그릇에 담아 정리합니다. 재는 보통 향로나 화단에 뿌리거나, 강이나 바다에도 흘려보냅니다.

     

    5. 작성 시 주의사항

     

    위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제사 지방을 쓰는 것은 매우 간단하지만 아래의 항목은 작성하실 때 주의하셔야 합니다.

     

    ① 재사용 금지

    지방은 한 번 사용한후 재사용하지 않으며, 사용한 지방은 정성스럽게 태워야 합니다.

     

    ② 지방  위치

    제사상에 올릴 때 바라보는 방향으로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위치합니다.

     

    ③ 정성스럽게 작성

    지방을 작성하기 전에는 손을 깨끗이 씻고,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작성합니다.


    지금까지 제사 지방을 쓰는 방법에 대해서 쉽고 간단하게 설명드렸는데요.

     

    고인에 대해서 다시 한번 떠올리고 감사한 마음을 갖는 의미있는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